미술관,전시장 계획

Posted 2005. 3. 23. 07:41


1. 대지선정조건

a.일반대중이 용이하게 갈 수 있는 곳에 대지를 선정한다
b.먼지,매연,소음 방재로 부터 피해가 없는 곳에 대지를 선정한다
c.일상생활과 밀접한 곳에 대지를 선정한다.
d.도심과 주거지역의 중간지점에 대지를 선정한다.

2. 평면계획
  
a.건물의 각부분에 용이하게 출입할 수 있어야 한다
b.건물의 입구에서부터 관람객의 동선이 분산되지 않도록 한다.
c.통로는 알기쉬운 기호로 명시해야 한다.
d.일반전시실과 특별전시실(연구용)을 구별하여 설치한다.
e.미술관이 대규모인 경우에는 관람자의 편의시설과 쾌적함을 만족 시킬 수 있는 설비등을 갖춘다

3. 전시실의 동선계획

a.전시실의 동선은 좌측통행을 기본으로 한다.
b.전시실의 전관(全館)의 주동선의 방향이 정해지면 개개의 전시실은 입구에서 출구에 이르기 까지 연속적인 동선으로 교차의 역순을 피해야 한다
 
4. 세부계획

a.전시실의 면적 구성
 
  ● 박물관의 전시공간은 연면적에 30~50%정도 차지한다.
  ● 미술관의 전시공간은 연면적에 약 50%정도 차지한다.

b.전시실의 순회형식

>연속 순회 형식
1.각 전시실을 연속적으로 연결하는 방식을 말한다.
2.동선이 단순하고 공간이 절약된다.
3.소규모 전시실에 적합하다.
4.많은 실을 순서별로 통과하는 단점이 있다.
5.1개실이 차단되면 전체의 동선에 문제가 생긴다.

>갤러리 및 코리도 형식
1.연속된 전시실이 한쪽 복도에 의해서 각실을 순회하는 방식으로 가장 이상적인 형식이다.
2.최소의 면적으로 최대릐 전시 벽면을 얻을 수 있다
3.순회의 단축성과 확장의 가능성을 고려한 형식이다.
4.각실을 직접 출입할 수 있는 형식이다.
5.필요시에는 자유로이 독립적으로 실을 폐쇄할 수 있다
6.복도 자체가 전시공간으로 활용이 가능 하며 장래에 증축이 가능 하다

>중앙 홀 형식
1.중심부에 하나의 큰 홀을 두고 그홀을 이용하여 각 전시실을 배치하여 자유로이 출입하는 형식이다.
2.부지의 이용률이 높다
3.중앙홀의 면적이 작으면 돈선의 혼란의 우려가 있다.
4전시실의 대규모인 경우에 적합하나, 장래의 증축에는 무리가 있다.


5.전시실의 크기

1.마그스안 (magnus)

천장의 높이는 전시실의 폭에 5/7 정도로 한다
벽면의 진열 범위는 바닥에서 1.25m~4.7m 까지 가능하다.(단,실폭이 11m이상인 경우)
천장의 폭은 전시실의 폭의 1/3~1/2정도이다
벽면의 최고 조도의 위치는 천정에서 5.3m의 밑점까지 한다.


2.타이드안(tiede)

회화높이 중심에서 수평선과 실의 중심선과의 교차점을 중심으로 원을 그렸을때 바닥에서 0.95m의 벽면에서 부터 회화 전시면으로 하고 이에 대한 45도 산과 교차점을 천장의 높이로 한다
실의 폭과 길이는 자연채광의 경우 창 상단의 높이와의 관계로 정한다.


3.기타 계획

전시실의 폭은 최소 5.5미터정도로 한다.
대규모 전실의 최소폭은 6미터 이상으로 하며 평균8미터 이상으로 한다
다수의 관객들이 통행하는 경우에는 통로폭을 2미터 이상으로 한다
전시실의 길이는 전시실의 폭에 1.5배~2배정도로 한다
전실물이 소형인 경우에는 1.8미터 이상, 대형전시물인 경우에 6미터 이상 떨어져서 관람할 수 있도록한다
시각은 45도 이내:최량시각(最良視角)의 각도는 27~30도


6. 채광 및 조명계획

1.채광 및 조명계획

1.광원의 현휘를 유발하지 안도록 한다
2.전시물에는 항상 적당한 조도를 가지되 균등하게 되어 있을 것
3.실내의 조도 및 휘도 분포가 적당할 것
4.관람자의 그림자가 전시물에 나타나지 않을 것
5.화면 또는 유리케이스에 다른영상이 나타나지 않도록 할 것
6.광색은 적당하여야 하며 변화가 없어야 한다
7.케이스 내의 전시물인 경우에는 케이스 내의 조도를 외부보다 밝게 계획한다

2.자연 채광 형식

>정광창 형식 :Top Light

천정 중앙에 천장을 설치하는 방법
천장의 직접 광선을 막기위해 천장부분에 루버를 설치 하거나 창을 2중으로 한다
채광량이 많아 조각품 전시에 적합하느 유리상자 속 공예품 전시에는 부적합한 형식이다

>측광창 형식:Side Light

측면에 창을 설치하는 방법이다
전시실의 채광 방식 중 가장 불리한 형식이다
소규모 전시 이외에는 사용하기 부적합한 형식이다

>고측광창 형식:Clearstory

천장에 가까운 측면에서 채광이 되는 방법으로 측광창과 정측광창을 절충한 형식이다.

>정측광창 형식 :Top Side Light Monitor

관람자가 서 있는 위치의 상부 천장을 불투명하게 측벽에 가깝게 채광창을 설치

>특수채광형식
천장의 상부에서 경사방향으로 빛을 도입하여 벽면을 주로 비추는 방법

 

경남도립미술관

Posted 2005. 3. 16. 20:32

  경  남  도  립  미  술  관 


 

․대지위치 : 경남 창원시 사림동 1-2번지 일대

․건축면적 : 1,958.00㎡

․연면적 : 5,914.70㎡

․조경면적 : 6,248.30㎡

․건폐율 : 10.04%

․용적율 : 21.7%

․규모 : 지하1층, 지상3층

․구조 : 철근콘크리트조

․외부마감 : 화강석버너구이, THK24 복층유리

(99년 현상설계 당선안 개요)


 


 

사용자 삽입 이미지

그림 1) 99년 엄&이건축 현상설계 당선안

 

 

01. 지형학과 배치(topography & placement)

경남도립미술관은 풍수적으로나 도시계획적으로 볼 때 뛰어난 입지를 갖는다. 경남도청과 경남지방경찰청과 함께, 경남도립미술관은 풍수적으로는 창원시의 주산(主山)격인 정병산을 뒤로 하고 있으며, 정면으로는 격자체계로 이루어진 계획도시 창원의 주요도로인 중앙로를 마주본다. 미술관이 창원의 중심지가 아닌 산지와 도시외곽에 위치해서 일반인의 접근성이 다소 불리하다고 말할 수 있지만, ‘경남도립’ 미술관로서 갖는 위상과 의미에 고려한다면 그에 걸맞는 대지와 입지조건이라 할 수 있다(그림1).

사용자 삽입 이미지

그림 2) 요소로서의 입구 캐노피와 카페테리아 : 그러나 이러한 유리 볼륨들은 내부공간과 맞물리지 않는다.

   미술관의 배치는 이와 같은 도시적 맥락을 이해한 듯 의도적으로 수평으로 긴 메스와 벽을 함께 보여주면서 강한 도시축과 대응한다. 약 100여 미터의 광장을 거쳐서 진입보도를 따라가 보면, 미술관은 도로레벨보다 약 4~5m 올려져서 1층이 시작된다(그에 반해 관리인 영역과 동선은 외부에서 지하1층으로 바로 진입한다.). 이는 산지 아래의 구릉지의 조건을 이용함과 동시에 미술관을 관람객의 진입과정을 보다 긴장감 있게 연출하기 위한 것이다. 이런 설계자의 대지와 도시에 대한 인식에서 나온 건물의 배치계획은 건축계획이라기보다는‘지형학적 계획(topographical design)’이라고 할 수 있다. 배치도를 살펴보면 지형학적 요소가 하나 더 있음을 알게 되는데, 건물 우측으로 뻗은 가벽과 함께 건물 뒤편 조각마당으로 시선을 돌아가게끔 하는 거대한 원형의 벽과 계단이 그것이다. 건물 정면에 서면, 시선과 동선이 건물 뒤편 조각공원으로 건물을 관통하기 보다는 타원형의 카페테리아를 따라 우측으로 돌아서 조각공원으로 향하게 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그림 3) 커튼월과 가벽

 

 

02. 요소들(elements)

도시와 마주보는 남측입면은 분명 구성적이라 할 수 있다. 도립미술관 남측입면은 좌측에 유리계단실, 중앙홀을 암시하는 커튼월과 독립된 입구 캐노피, 휴식공간으로 쓰이는 타원형의 카페테리아, 그리고 우측 끝으로는 내부공간의 긴 램프를 형상화한 유리볼륨, 이 모두가 요소화 되어 구성된 입면이다. 미술관의 전체적인 형태구성을 분해해보면, 도시축에 대응하는 화강석의 메스가 바탕(ground)이 되고, 그 바탕위에 여러 유리볼륨들이 요소들(figures)로서 구성되는 형상인 것이다(그림2,3).

그러나 그런 중에 건물 우측으로 뻗은 가벽은 의아스럽다. 입체 형상의 최소단위인 메스에서 면(layer)적 개념인 벽이 붙여지거나 연장됨은, 요소들의 전체적인 구성에 있어서 난센스처럼 보인다(그림3).

내부 공간은 관리와 전시영역에 의해 좌, 우로 나눠진다. 즉, 중앙부의 계단실로 인해 두 덩어리로 분리된 메스는, 좌측으로는(지하1층까지 포함해서) 사무실을 비롯한 관리영역으로, 우측으로는 일반 관람객 영역으로서 전시공간과 카페테리아, 자료실이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그림 4) 램프 전경

   그러나 도립미술관의 외적인 요소들은 단일한 기능적인 볼륨에도 불구하고, 내부공간과 별개로서 단순히 입면에 덧붙여진 장식적인 부가물로 보인다. 홀과 관계가 모호한 타원형의 카페테리아도 그러하고, (당선안 대로라면)긴 경사로(ramp)도 산책로 같은 이동경로와 전시공간을 동시에 수용하려고 계획했지만, 길이에 비해 폭이 좁고 어두워서 전시공간으로 사용하기에는 불가능해보이고 산책로로서의 경로는 지루하기까지 느껴진다(그림4).그런 의미에서, 역설적이지만 외부의 형태적 요소는 내부공간에서 드러날 때 더 효과적이면서 비로소 공간적인 오브제가 되는 것이다.

무엇보다 아쉬운 점은 건물 뒤편에 있는 조각공원과 내부의 관계이다. 입지설정이나 배치계획 단계에서부터 중요시되었던 조각공원은 레벨 때문에 3층에서 나갈 수 있게 되었지만, 건물 홀과 내부공간의 아무런 유도나 암시 없이 기능상 설정된 것처럼 보인다. 관람객의 시선과 움직임은 광장을 거쳐 미술관에 들어와서 홀에서 힘없이 흩어진다. 홀에 서면, 좌측으로는 계단과 우측에 램프가 있지만, 광장에서 시작된 긴장감은 막혀진 대리석 벽면과 함께 공간적 방향성을 잃어버린다.따라서 경남도립미술관에 온 관람객의 시퀀스 종착지는 마땅히 건물을 관통해서 도시축의 연장으로서 조각공원이 되어야 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그림 5) 수평성을 강조한 커튼월 : 600×2400 프레임모듈은 외부보다 내부에서 더 효과적이다.

 

 

03. 모듈 그리고 철골과 대리석(module and steel frame, marble)

외부에서 수평을 강조하기 위한 커튼월의 600×2400 모듈은 사실 내부에서 보면 오히려 내부에서 외부를 향하는 시선에 의해 조작된 모듈인 듯 하다. 홀에 면하는 커튼월은 2층에서 자연스럽게 시야가 도시로 향하게끔 도와주는데, 그때 커튼월 모듈은 풍경을 재단하는 역할을 한다. 600×2400의 모듈은 르 코르뷔지에(Le Corbusier)가 그러했듯이 도시의 원경을 위한 모듈이고, 동시에 홀 전체를 덮는 커튼월의 넓은 면을 600×2400 단위로 모자이크로 재구성한다. 따라서 2층에서 내려다보이는 것은 창원의 일상적인 도시풍경인 동시에, 600×2400 모듈로 새롭게 구성되는 창원의 또 다른 도시이미지이다.(그림5,6)

사용자 삽입 이미지

    그림 6) 커튼월 디테일

 

 

 

사용자 삽입 이미지

그림 7) 카페테리아

 

 

 

사용자 삽입 이미지

그림 8) 2층에서 본 커튼월 프레임과 홀 전경

    경남도립미술관의 내부 마감과 디테일은 간단하지만 수려한 시공성을 보여준다. 재료의 측면에서 외부는 화강석과 유리의 의한 효과라면, 반면 내부는 대리석과 철골과 커튼월의 효과이다. 전자의 대비의 효과와는 다르게, 철재와 천연대리석은 보는 이로 하여금 묘한 정서적인 안정감을 준다(그림8). 이 정서적인 안정감은 시각적이라기보다는 흰색의 철골프레임과 깔끔하게 마감된 대리석으로 인한 ‘촉각적인 경험’라고 할 수 있다. 내부공간의 이러한 경험과 효과는 설계자가 애초에 의도한 건축적 긴장감을 다소 반감시킬 수 있으나, 반대로 관람객이 미술관을 부유하면서 관람하게 하는 아우라(aura)같은 분위기를 만들어낼 수도 있을 것이다.

« PREV : 1 : ··· : 8 : 9 : 10 : 11 : 12 : 13 : 14 : ··· : 49 : NEX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