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 건축 디테일
Posted 2005. 3. 31. 09:10
|
|
|
| ||
|
기와 잇기는 서까래를 얹어 지붕의 골격이 이루어진 다음에 이루어 진다. 서까래와 서까래 사이는 보통 한 자로 이루어지고 이 사이에 흙을 채워 넣게 된다. 이때 채워 넣는 흙의 양이 너무 많으면 지붕의 구조체에 무리를 줄 수 있으므로 유의하여야 한다. 서까래 사이에 흙을 채워 넣으려면 우선 서까래와 서까래 사이를 덮어 주어야 한다. 서까래를 덮는 방법으로는 서까래판을 이용하여 서까래 방향으로 덮어주는 방법과 산자엮기 방법이 있다. 산자엮기의 경우에 집의 규모가 작으면 껍질을 벗겨낸 삼대나 수수깡을 이용하며, 규모가 큰 곳은 장작과 같은 나무를 새끼줄로 엮어 덮는다. 수키와를 쌓을 때는 암키와 위에 홍두깨흙(보토와 같은 방식으로 제조)이라는 것으로 채워 수키와가 고정되게 한다.수키와는 한쪽 부분이 앞쪽 보다 작은 토시모양으로 생긴 무단식 기와와 언강이라는 단이 있는 유단식 기와가 있는데 이를 이용하여 끼워 넣는 식으로 처마끝부터 쌓게 된다. 마루기와를 마무리하는 또다른 방법은 양성바르기를 하는 것이다.양성바르기란 옆의 사진[경복궁 근정전]에서 보이는 것처럼 마루기와 전체를 회벽을 바르듯이 처리하고 숫마룻장 기와만을 올려놓는 방법이다. 회벽을 바른 암마룻장 부분의 돌출된 1줄은 빗물이 흐르는 것을 방지하여 시간이 지나도 빗물 자국 등으로 보기 흉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양성바르기는 취두나 용두를 장식함으로써 복잡하고 무거워 보이는 모양을 감싸주어 기와지붕이 가벼운 느낌이 들도록 하기 위해 사용한다.
|
|
| ||
| ■ 단청의 목적 단청은 본래 고대사회에 지배세력의 건축물이나 국가적 차원의 의식, 종교 의례를 치르는 건물에 행해 일반 가물과 구분하고 엄숙함을 나타내기 위해 시작되었다. 그러므로 탑, 비석등에 새겨진 문양이 단청의 모태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단청을 하는 이유는 대략 다섯가지로 볼 수 있다. ■ 단청의종류 단청의 종류는 대략 10가지가 되는데 그 유형에는 크게 가칠단청, 긋기단청, 모로단청, 금모로단청, 금단청등이 있다.
이러한 단청의 종류는 각각의 품격이 다르므로 대상 건물의 성격과 구조, 주위의 환경 등을 파악하여 격에 맞게 단청하여야 한다
|
|
|
|
| 그 대신 마루는 넓고 개방적이다.이렇듯 폐쇄적인 방과 개방형인 마루가 공존하면서 그 사이를 차단하는 벽처럼 생긴문이들창이다. 폐쇄적이면서 개방성을 함께 지닌 들창은 안과 밖을 두껍게 싸바른 몇짝의 문이 분합으로 구성되어 닫아버리면 마치 벽처럼 느껴져 아늑한 분위기를 만들고 방안의 온기를 보존해준다. 안과 밖을 두껍게 싸발랐기 때문에 빛이 투과하지 않으므로맹장지라 한다. 그래서 맹장지 중간쯤위에 창을 만들었다. 네모, 육모, 팔자형등 모양의 창틀에 살래를 넣어 창호지를 발랐다.어두운 방안에서 보면 창살을 통해 들어 오는 은은한 빛의 조화가 한결 운치 있어 보인다.그래서 이 창을불밝기창이라 부른다. 이 불밝기창은 창(들창)속의 창인 셈이다.
분합으로 된 여러짝의 문중 가장자리의 문은 출입문이 된다. 평소에는 다른 문짝들은 모두 닫아 걸고 한쪽만 여닫이문으로 하여 출입한다. 그러다가 필요에 따라 방과 마루를 터서 쓸 필요가 있을 때면 분합으로 된 문짝을 접어서 들어 올려등자쇠에 걸면 방과 마루가 시원하게 통칸이 되어 버린다. 폐쇄성과 개방성을 한 집안에서 효과있게 조화시킨 지혜를 들창에서 발견할 수 있다.한옥에서 들창은 여러곳에 사용하고 있다.개방형인 마루에도 겨울을 대비해 들창을 달아 더운 계절이면 제치고 추울 때는 닫아 찬바람을 막을 수 있게 한다. 주로 여름을 시원하게 지내기 의해 지어진 정자나 누각에도 들창을 설치하여 방을 꾸미기도 한다.
온돌 제도가 없는 나라들의 집에서는 용도에 따라 구분되었을 뿐 구조의 특징은 별로 없다. 가까이 일본집에서 보면 방전체가 두꺼운 자리(다다미)로 깔려 편의에 따라 이방 저방으로 나뉘었을 뿐이다.방과 방사이를 미닫이로 구분하였을 뿐 열면 통칸이 되고 닫으면 나뉘어지는 폐쇄성이나 개방성같은 특징은 없다.한옥의 들창은 그 유형도 다양스럽다. 문얼굴 넓은 공간을 분합으로 나뉠 때도 여러 짝문이 일정하게 만들어지기도 하지만 같은 문에서 넓고 좁게 변화를 주기도 한다. 온돌방이 아닌대청의 들창은 맹장지로 하지 않는다.맹장으로 하면 대청이 어두워지기 때문에 밝은 살대문 그대로 들창으로 만들어 단다.
|
■ 기단의 개념 기단은 토대를 세우고 단을 쌓은 건물의 한 시설을 일컫는 말이다. 요즈음 기초라고 부르는 것과 그 개념이 같은 것이다. 지하에 정리된 축기 부분과 지상에 높이 올려 놓은 초석과의 사이를 메꾸기 위하여는 어떠한 형태로든 그 부분을 메꿔야 하는데 판축의 방법이나 성토 혹은 축석으로 그 부분을 메꾸기도 한다. 지금의 콘크리트 공법에서 거푸집 대신 돌을 쌓거나 흙을 모았고 콘크리트 대신에 석비레를 사용하였다. 각기 기둥마다 흙의 거푸집을 만들다 보니 바깥 기둥의 흙거푸집도 만들어야 하는데 그것은 밖이라서 흙이 자주 흩어져 퍼지므로 그것을 막기 위해서 더 흩어지면 안될 곳에 지사시설을 해야만 했다. 지사시설로 돌을 땅에 묻어 세우거나 기와를 쌓기도 하였으며 평평하고 넓직한 터에서는 지사시설을 건물 4주에 설치해야 하였고 건물이 크면 클수록 지사시설도 단단히 하여야 되었다. 그러한 이유에서 잡석 난층 쌓기나 깍음돌로 병풍돌(면석)을 만들어 끼우게 된 이른바 기단 다운 기단이 생기게 되었다. 기단은 기호 부위의 막음을 위한 시설물로 결국 등장한 것이다. 따라서 기단이 곧 기초가 되는 것이므로 기단은 건물에도 필요하였고 토목 공물에도 소용이 되었다. ■ 기단의 유형 |
|
|
장대석기단의 맨 위층 모서리에서는 두 장대석을 'ㄱ' 붙여 놓았을 때 시간이 지남에 따라 귀가 벌어지는 결정을 보완하기 위해 큰돌을 'ㄱ' 형태의 통돌로 만들어 놓는데 이를 귀틀석이라고 한다.
|
|
|
|
김동현, 한국 목조건축의 기법, 발언, 1995 김왕직, 그림으로 보는 한국건축용어, 발언, 2000 장기인, 한국 건축 사전, 보성각, 1998 |
■ 초석의 개념 초석은 주초라고도 하며 기둥 밑에 놓여 기둥에 전달되는 지면의 습기를 차단해주고 기둥을 내려오는 하중을 지면에 효율적으로 전달해 주는 역할을 한다. 목조탑에서는 종교적 숭앙물인 사리봉안을 위해 건물 내부에 특수 초석(일명 심초석)을 지하에 매설하는 경우도 있다. 초석의 크기는 판석으로 부터 기둥으로 간주되는 대형초석까지 있으며 영조법석의 기록을 보면 초석의 크기를 임의로 결정지을수 없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초석은 지상에 노출도기 때문에 민족적 정서에 다라 많은 조각과 장식이 들어가기도 한다. ■ 초석의 분류 형태별로는 원형초석, 방형초석, 육각초석, 사다리형초석, 칠각초석, 장주초석 고맥이초석, 특수형초석, 덤벙주초등이 있으며 위치및 기능별로는 활주초석, 심주초석, 외진주초석,내진주 초석, 평주초석, 우주초석, 퇴주초석 등이 있다. | ||
| ||
| ||
| ||
| ||
| ||
| ||
| ||
| ||
| ||
| ||
김동현, 한국목조건축의 기법, 발언, 1995 김왕직, 그림으로 보는 한국건축용어, 발언, 2000 장기인, 한국건축사전, 보성각, 1998 천경화 편, 한국문화재총설, 백산출판사, 1993 |
|
|
|
반응형
'@ 네이버 블로그 이전 게시물 > ▶ Archi World' 카테고리의 다른 글
BookmarksSearchTag CloudCategoriesRecent CommentsCalendar
04-12 05: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