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가> 현대건축의 4대 거장
Posted 2004. 5. 2. 21:50Frank Lloyd Wright
세기의 거장 프랭크 로이드 라이트는
위스콘신주 리릴랜드센터에서 1869년
6월 8일 음악가겸 목사인 윌리암 C.
라이트와 웨일즈 출신의 안나 로이드
라이트 사이에 장남 으로 태어났다.
그는 일생 동안 프로젝트를 포함한
800여개의 작품을 발표하였으며 건축
을 시작한 이래 은퇴없이 생애를 마
칠 때까지 작업에 몰두한 철인이었으
며 일관된 건축적 사고와 자신만의
독특한 건축언어를 정립하였다.
자연에서 추출된 그의 건축적 모티브는 가장 원초적인 개념으로 읽을
수 있으며, 이러한 자연에 대한 직관은 자연의 자태에서 형상화된 구
조의 시스템을 비롯하여 형태, 내부와 외부공간의 관입, 수직 과 수평
의 상호 연관관계 및 연속과 확장, 반복 및 대립의 관계로 이어져 각
각의 개체가 결합되면서 일체로 표현되는 유기적 건 축(Organic Arch
itecture)의 맥을 이루고 있다.
라이트는 그가 평생 스승으로 생각한 당 시 시카고학파의 거장인 루이
스 셀리반 사무소에 입사하면서 미 라는 것은 기능이나 형태에 내재하
고 있다는 유기론(자연적이며 생물적인 것으로 유기적 인간성으로 연
결되며, 서로 완전히 분 리될 수 없는 사상이나 사물의 파악)을 계승
발전시켰다.라이트는 140개 정도의 주택설계, 50에 가까운 계획안 등
다작의 주택 설계를 했으며 이를 통해 건물의 진실성은 건물의 지붕과
벽에 있는 한정된 것이 아니라 그곳에 살수 있는 내부공간에 있음을
제 시 했다.
초기의 계획에서는 좌우대칭의 엄격한 고전주의(classicism)에 의하
여 구성하였으나 묵직하고 평면 및 단면을 단순 간결하게 처리하였다.
유틸리티 코어(utility core:주방,세탁실,화장실 등 물쓰는 공간을
한데 모아 설비에 대한 처리를 간편하게 함)가 주택의 중심적 요소
로서 평면의 가동 칸막이와 다양한 높이의 천정으로 공간의 변화를 꾀
하는 등 인간적인 스케일을 채택하였으며, 다양한 높이의 내부 공간감
은 건물외관에서 볼륨감의 변화가 솔직하게 표현 하였으며, 수평선을
강조하여 대지에 펼쳐지는 듯한 공간을 전개하여 자연과의 융합을 시
도하며 매개공간의 효과와 평면형식은 세로와 가로로 직교하는 축선에
의해서 십자형플랜을 이루어 교차되는 두개의 축에 의해 결정되었다.
벽으로 구획된 각각의 방도 창문에 의해 차단되지 않고 자유롭게 유통
되며, 칸막이 역할의 벽은 드라마틱한 공간을 연출된다. 실내공간은 어
느 방으로도 확산되어 공간의 연속성이 확연하며 창문은 프로벨 가베의
영향으로 기하학적인 문양을 형성하고 크게 열린 개구부를 통하여 테라
스나 발코니가 정원 등 외부공간과 융합해서 각 실의 연속성과 아울러
내부와 외부공간이 상호관입한 유기적건축의 실체가 되도록 하였다.
라이트는 시대적 흐름의 격동과 역경속에서도 많은 작품활동을 통하여
자신의 건축적 사고의 근본인 유기적 건축론을 실재화하면서 이론과
실체를 겸비하며 충실하게 표현한 건축가로서, 자연을 디자인의 모든
원리, 결과의 내부적인 요소로서 이해하였으며, 그러한 건축이념은
생명 그 자체로서 내부적 유기체이며 형태와 기능을 동일한 개념으로
이해하여 부분은 전체를 구성하기 위해 중요할 뿐만 아니라 다른 부분
과도 융합해야 되며 공간은 그 생활을 구성하는 중요한 성분으로서,
외부로 향하고 또한 내부로 향해 흐르는 것으로 모든것을 제3차원으로
하여 느끼고 보며 사용하는 것으로 확립하였던 것이다.
--------------------------------------------------------------------------------
Walter Gropius
현대건축의 건축가들의 경향이 대부분 개인주의를 바탕으로 한 작품활동이었 다.그러나 일찌기 그로피우스는 협동 작업을 주장하여 이를 사무실의 지침 으로 하여 소장에서 모든 직원들에게 이르기 까지 각자의 의사를 충분히 발 휘하도록 작업환경을 만들었다. 그는 또한 건축교육에 지대한 관심과 정력 을 모아 현대 건축교육의 바탕이된 바우하우스를 개설하였다. 그의 이념은 "건축은 광범위한 종합예술"이라고 믿어 건축가들의 협동뿐만 아니라 관련된 모든 분야(회화,조형물 등)를 개입시키고, 또한 작품의 실현을 위하여 수공법에서 다량 생산 과정 에 이르기까지 모든 것을 도입하여 실습을 시작하였고, 설계에서는 건설업자를 참여시켜 건설 과정을 학생에게 가르쳐 주었다. 바우하우스(bauhaus)의 교육이념은 건축,미술,공예분야등의 상호연관성 을 강조하고 거기에 따르는 이론과 실기를 연구하는 건축교육을 구상 했다.그래서 구라파 전지역에서 각 분야의 유능한 전술한 강사진을 초빙하여 이론과 실기 교과과정을 개설하였다. 이론의 기초과목중에 평면,입체,조각,공간,색,조형,도학,제도 등을 연구하였다. 실기 수업으로 예비과목으로 자연,역학,재료공학과 재료에 대한 연구 를 세분화하여 돌,나무,점토,유리,철직물 등에 관한 연구, 분석을 통 하여 재질의 특성을 이해하였다. 바우 하우스의 기초,예비과정은 원리와 자연의 섭리를 터득하는 창작의 준비로서 학생들은 글자를 쓰기전에 선을 배웠고,조각을 하기 전에 형태를 이해해야 하였다. 이와같은 기초과정을 수료한 후에 작품과 실기를 시작할 수 있었다. 바우하우스의 교육은 매우 적극적이었다. 모형을 만들면 우리가 지금 하는 것처럼 1/100,1/200로 만드는 것이 아니라 실제 크기로 만들었다. 바우하우스를 시작해서 건축과 그 관련(미술,조각,철공,목공,가구,도자기,사진,그래픽디자인,편물,공업으장,인테리어 디자인,단지계획등)의 포괄적인 교육을 한것은 독일 뿐만 아니라 영국 특히 미국에 현대교육의 기반이 되었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Mies van der Rohe
미스는 1886년 3월 27일 Charlemagne
의 옛날 도시였던 아헨(Aachen)에서
태어 났다.
현대건축 4대거장 중 프랭크 로이드
라이트는 1869년 미국 태생으로 미스
보다 한 세대나 앞섰던 반면에 1883
년에 독일에 서 태어난 월터 그로피우
스와 1887년에 스위스에서 태어난 르
꼬르뷔지에는 미스와 같은 세대의 인
물 들이다. 4대 거장중 월터 그로피우
스만이 정규 대학에서 건축교육을 받았
을 뿐 다른 세 건축가들은 모두 정규
대학 과정을 거치지 않고 건축수련을 쌓은 것이 주목할 만하다.
미스는 15세까지 고향 아헨에서 성당 부속학교를 다녔으며 후에 아버지
가 운영하던 석재시공회장의 현장과 어떤 스터코(석고 종류의 마감재)
시공회사의 제도실에서 건축에 첫발을 딛기 시작 하였다.
19세 되던 1905년에 큰 뜻을 품고 베를린으로 간 그는 처음 일하게
된 건축가의 아틀리에에서 자신이 나무구조와 가구에 대한 지식이 너무
빈약한 것을 깨닫고는 당시의 저명한 가구디자이너 이며 건축가이기도
하였던 부루노 파울을 찾아가 그 밑에서 배우게 된다.
미스는 1908년부터 3년간을 베렌스의 아틀리에에서 일하면서 칼 프리드
리히 쉰켈(Karl Friedrich Schinkel)의 작품세계에 심취 하게 된다.
베렌스 사무실 시절의 끝무렵에 미스는 화란의 저명한 미술 수집가였던
크뢸러일가의 저택 설계를 위하여 오랜 시간을 화란에서 보내게 되는데
이를 계기로 핸드릭 페트루스 베르나게(Hendrik Petrus Berlage)의 건
축에 큰 감명을 받았다. 베르나게가 보여주는 구조의 진실성과 논리는
미스 자신의 창작태도의 중요한 요소가 되었다.
1차 세계대전 이후 미스가 제작 하여 세계에 발표한 5개의 프로 젝트
가 현대건축운동의 선구자로서의 미스의 위치를 굳히는 계기가 되었는
데, 첫번째 프로젝트는 1921년에 있었던 현상설계안으로서 베를린의
프리드리히스트라세 종착역의 맞은 편에 자리잡은 삼각형의 대지에 고
층 오피스빌딩을 설계하는 것이었다.
미스가 제시한 안은 입체의 모든 면이 전부 유리로 감싸여진 결정체로
도로면에서 부터 20층을 단숨에 올라가는
듯한 안이었다.이 현상안을 끝낸 후 미스는 유리고층건물의 디자인
에대한 깊은 관심이 생겼던 듯, 1922년에(Glass Skyscraper)안을 발표
하였다.
미스 작품에서는 보기 드문 Free-form Amoeboid의 평면 으로 구성된
이 프로젝트는 우선 평면의 크기가 '프리드리히스트라세안'보다 작은
반면에 30층까지 올려진 입면에 의하여 더 탑의 느낌을 주는 비례를 지
니고 있고, 미스의 말을 빌리자면 도로레벨에서 보이는 건물의 입체감
과 유리의 반사되는 성격을 충분히 살리기 위하여 그 외관을 결정되었
다고 한다.
조형적 창의력이 풍부한 이 두 고층건물안과는 아주 대조적인 '콘크
리트 오피스건물안'을 미스는 1923년에 제작 하여 전시하였다. 한장의
판넬만으로 이루어진 콘테 챠콜(Conte Charcol)투시도로 이 계획안은
콘크리트 라멘구조(철근 콘크리트 구조 방식)의 성격을 간결하고 우아
하게 잘 나타내고 있다. 미스의 5개 프로젝트 중 마지막 둘은 '전원주
택안'이었는데, 1924년의 벽돌전원 주택은 완전히 새로운 공간 개념을
제시하는 획기적인 프로젝프로서 60년이 지난 오늘에도 아직 그 잠재
적인 가능성이 충분히 탐구된바 없다. 서로 직각방향으로 배열된 조적
벽면들 사이사이로 일련의 연결된 공간이 형성되고 몇개의 조적벽들은
지붕을 구성하는 장방형의 한계를 벗어나 자연 속으로 뻗어 나가는 이
디자인은 5년 후 미스의 손에 의하여 지어진 바르셀로나 파빌리온의
공간감을 예고해주고 있다.일년 앞서 1923년에 발표된 콘크리트 전원
주택은 콘크리트의 조소적 성격을 잘 나타내며 형태적으로 잘 정리된
주택 평면의Zoning개념을 보여주고 있다.
1차 대전 후에 일련의 프로젝트로 명성을 확립한 미스를 우리는 알
고있지만, 그에게는 프로젝트를 통하여 어떤 건축의 문제를 분석 하고
생각하는 바를 정리하는 습관이 있었고 제자들과 후배들에게도 프로젝
트로 끝나는 설계안을 만들어 볼 것을 항상 권장하였다.
1960년 미국건축가협회 A.I.A의 금메달 수여식에서 미스가 한 짧은
답사에서 우리는 그의 생각을 그의 건축작품에서 보는 명료함과 간결성
을 갖고 이해할수 있다.
"나는 학생, 건축가 그리고 관심있는 일반인
들에게서 여러 차례 이런 질문을 받았습니
다.'우리의 갈 길은 무엇입니까?' 참으로
매주 월요일 아침마다 새로운 건축을 고안
해 내는 것은 가능하지도 필요 하지도 않
습니다. 우리는 한 시대의 끝이 아니고 시
작에 처해 있읍니다. 이 시대는 새로운 정
신에 의하여지배될 것이며, 새로운 기술적
,사회적,경제적,힘에 의하여 움직여질 것이
며, 새로운 방법과 새로운 재료를 구사할것
입니다.이 때문에 새 건축이 생길 것 입니
다."
"그렇다면 건축은 문명의 가장 의미있는 노력에만 연관이 되어야 합니
다. 한 시대의 본 질을 꿰뚫는 연관 관계만이 진실합니다.이 연관 관
계를 나는 진실성의 양면관계라 부르고 싶습니다.
토마스 아퀴나스가 말하는Adequatio intellectus et rei의'진실'
또는 현대의 철학자가 현대어로 표현하듯이 '진실이란 사실의 의
의'입니다. 이러한 의미의 연관관계라야 우리 문명의 복합성을
포용할수 있읍니다. 그렇게 함으로써만 건축이 우리 문명의 형태
가 천천히 변하여 가고 있는 것을 표현할 수 있을 것입니다."
--------------------------------------------------------------------------------
Le Corbusier
I am Sorry
Under Construction
--------------------------------------------------------------------------------
Louis Kahn
일생을 건축에 대한 지극한 애정과 열정
적인 탐구활동 및 교육에 몸바쳐 왔던 루
이스칸은 당시의 메마른 건축에 영감적
가치를 도입한 건축가였다.
생애의 후반기에 세인의 주목을 받는 좋은
작품들을 집중적으로 남겼던 그의 건축은
자신의 건축사상을 그대로 입증하는 증거물
들이었으며 모든 위대한 건축물들과 마찬가
지로 시간을 초월한 아름다움은 지닌 작품
들이었다. 어린시절에 불의의 사고로 얼굴
과 손에 크게 화상을 입은 칸은 자신의 일그러진 얼굴 모습에'scafa
ce'라는 별명을 붙여 놀려대는 학교친구들 때문에 크게 마음의 상처
를 입고 내성적인 성격을 갖게 되었으나, 모친의사랑과 격려로 마음
의 상처를 극복할수 있었으며, 이것이 후의 건축활동을 하는데 있어
서 내면적 사고의 깊이를 더하게 하는 계기가 되었다.
펜실베니아 대학에서 5년간 건축을 공부하
는 동안 칸에게 가장 큰영향을 준 교수는
프랑스의Ecole de Beaux-Arts에서 교육 받
은 바있는 Paul Cret였다. 칸은 Cret로 부
터 건축의 형태에는 역사를 통해 계속 되
어온 내재적 원리가 있음과 새로운 형태는
과거의 것으로부터 영감을 받은 것이어야
한다는 것을 배웠고, 후의 작품활동을 통
해서 이 내재적 원리를 발견하기 위한 탐
구를 계속 했다.
공황기 였던 30년대에는 특히 공공 주택의
일을 많이 하였고, 이때건축적 이상주의와
현실 사이의 문제에 깊은 관심을 갖게 된다.
건축의 본질과 형태, 창작과정 등에 관하여 특히 관심을 갖고 탐구
해 가는 과정에서 칸은 자신의 건축 철학을 핵심적으로 대표하는 개
념들을 어휘들로 즐겨 표현하곤 했는데, 이 어휘들 중 가장 중심적
이며 칸의 작품에서 뚜렷이 엿볼수 있는 것들은"Form-Order-Design"
,"Servant and Served Space","Silence and Light"등 이었다.
--------------------------------------------------------------------------------
칸에게 있어서 Form은 '전체 속에서 부분적 요소들 간의 관계성에 의해 존재하 는 본질적인 것'으로서 요소들 간의 기본적, 필연적 관계성을 암시하는 것이었다. 예를 들어, 의자는 앉는 부분*다리*등 받이 등의 3요소로 구성되는 것이며, 의자가 어떤 재료로 어떤모습으로 만들어지던 간에 이 3요소 간의 기본적 관 계성을 유지하면 의자로서 인식되는 Form이라는 것이다. 건축 디자인에서의 Form의 단계는 어떤 특정 형태나 크기가 표현되는 것보다는 요소들의 본원적 배치가 마음속에 그려지는 단계를 말하는 것으로, 건축물의 Form은 무시간적인 것이며 건축양식의 변화에도 영향을 받지 않는 원형적인 것으로 파악 되었다. 반면에 ,Design이란 본원적인 Form이 오랜동안 창안과정을 거쳐 상황적 요구에 맞도록 고쳐진 물리적 실체로서 형체화시키는 개인적 해석의 결과로 파악하였 으며, 이러한 본원적 Form이 Design 실체로 되는것을 돕는 역할을 하는것이 Order라고 정의하고 있다. 즉,Order란 요소들 간의 기본적,필연적 관계성으로서 자연과 모든 사물의 조직을 지배하는 기본적이며 불변적인 법칙인 것으로, 건축에서는 재료(벽돌,돌,목재,콘크리트...)와Element들(이음새,지지부,개구부 ,방...)의 Order를 찾아내고 그에 충실해야 함이 필수적인 것으로 주장하였다. 'Servant and Served Space'는 근대 건축운동에서 이미 존재하고 있던 기능적 개념이었으나, 칸은 이 개념을 자신의 이론을 통해서 공간구성 Idea의 일부로서 더욱 발전 시켰다. 이것은 설비공간과 같은 부수적 공간이 주공간에 침해를 주지 않도록 분리하는 개념으로서, 심장으로부터 혈관을 통하여 에너지가 공급되는 생명체의 Order에 대한 인식에서 영감을 얻은 것이었다고 하며, 이것은 좀더 응용되어 Hollow Column(개념상으로 실제의 구조에 필요하지 않는 의장기둥)또는 Hollow Wall의 사용으로 확장된다. 'Silence and Light'는 칸이 50년대 후반부터 사망시까지 마지막으로 발전시켜온 가장 추상적인 개념으로서, 인간 내면의 창조적 표현욕구의 근원을 탐구한 시도였다. 빛의 영적 질(spiritual quality)에 대한 경외심으로 부터 출반한 이 개념에서,'Silence'는 무의식적 자아에서 우러나오는 표현하고자 하는 욕구이며 'Light'는 자연에 의해 주어진 표현의 수단인 것으로 정의하고 있다. 공간의 구조는 빛에 의해서만 정의될수 있고 빛과 구조는 불과분의 관계를 갖고 있으며, 특히, '시시각각으로 질적 변화를 수반하는 자연광만이 건물에 생명력을 줄 수 있는 진정한 빛이므로 생명력이 있는 자연광을 받지 못하는 공간은 진정한 의미의 공간이 아니라고 까지 주장한다.' 이와같은 건축철학에 기반을 두고 이의실현 을 위해 노력한 칸의 작품들에서 공통적으로 발견할수 있는 특징들은 다음의 5가지로 요약 된다. 1.건물의 구성감각과 통일성 2.건축재료의 특성을 잘 살리고자 하는 시도 3.건축의 엣센스로서의 'Room'감각 4.건축의 'Maker'로서 주의깊게 도입하는 일광 5.연계성의 건축 1974년 3월 17일,루이스 칸은 인도의 Ahmedabad에 출장갔다 돌아오던 중 뉴욕의 기차 정거장에서 심장 마비로 세상을 떠났다. 그의 별세 후 건축에도 많은 변화가 왔지만, 급변하는 오늘날의 상황속에서도 그의 건축이 불멸의 가치를 지닌 명작으로 우리의 마음속에 남아있는 것은, 우리 인류가 끊임없이 추구해 왔던 근원적 가치를 그의 건축에서 발견할 수 있기 때문일 것이다.
'@ 네이버 블로그 이전 게시물 > ▶ Archi World'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축가 루드비히 미스 반 데 로에 (0) | 2004.05.07 |
---|---|
<건축가> 루이스 칸 (0) | 2004.05.07 |
<건축가> 르 꼬르뷔제 (0) | 2004.05.07 |
건축가 <월터 그로피우스> (0) | 2004.05.07 |
- Filed under : @ 네이버 블로그 이전 게시물/▶ Archi Worl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