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PDA를 사용하면서 자주 접하게될 기본적인 용어들을 간략히 정리하였습니다.
PDA라는 단어조차 생소하게 느껴질 수 있는 초보자 여러분들!! "전문 용어를 알면 PDA가 보입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   가제트(Gadget): Palm용 프로그램인 LauncherEM에서 사용하는 기능 아이콘의 이름. 각 가제트마다 특징적인 기능이 있어서 Palm을 사용하는데 더욱 편리하게 해준다.
  •   개인정보관리자(PIMS):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일정, 약속, 주소록, 할 일 등의 개인정보를 종합적으로 관리하는 프로그램 총칭. Microsoft의 Outlook이 대표적인 PIMS프로그램이다.
  •   공개프로그램(Freeware): 사용하는데 아무런 제약이 없으며 누구나 사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
  •   그래피티(Graffiti): Palm OS에서 채택한 필기입력방식. 영문자를 약간 변형한 형태의 기호로서 Palm OS를 채택한 PDA에서는 그래피티를 사용하여 입력을 해야만 PDA에서 글자를 인식 할 수 있다.
  •   디지타이저(Digitizer): Palm에서 실제 누르는 위치와 입력되는 위치가 다를 경우 재설정하는 메뉴, 초기화면-Prefs-Digitizer선택

 

  

사용자 삽입 이미지

  •   런처(Launcher): Palm에서 프로그램을 카테고리별로 관리할 수 있는 프로그램의 총칭. LauncherEM, Megs Launcher, Silk Screen등이 있다.
  •   레코드(Record): 컴퓨터에서 데이터를 처리할 때 프로그램이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해 정렬해 놓은 데이터 항목의 집합
  •   리셋(Reset): PDA에 하드웨어적으로 문제가 생겼거나 각 응용프로그램간에 문제가 생겨서 일시적으로 작동하지 않을 때 PDA를 초기화하는 것. PC에 비유하면 Rebooting과 같다.
  •   백라이트(Backlight): PDA 액정이 불이 들어오거나 밝게 하여 어두운 곳에서 PDA를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기능
  •   비밍(Beaming): PDA에 있는 적외선 포트를 이용하여 PDA 상호간 데이터를 주고받는 것.
  •   블루투스(Bluetooth): 핸드폰, 컴퓨터, PDA, 가전기기 등이 서로 쉽게 무선으로 연결하기 위한 컴퓨터 및 통신 산업계의 국제 규격. 블루투스는 덴마크 전설에 나오는 왕의 이름이며 현재는 컴퓨터 주변기기들만의 규격이 아니라 모든 전자제품을 무선으로 연결하기 위한 표준으로 자리잡아 가고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   소프트리셋(soft Reset): 리셋의 한 종류로 응용프로그램간 충돌이 발생하여 PDA가 반응이 없을 때 사용하는 리셋, 소프트 리셋을 하더라도 RAM에 있는 데이터는 사라지지 않음
  •  숏컷(shotcut): PalmOS에서 유저에 의해 정의가 가능한 상용구를 사용하기 위해 쓰는 그래피티
  • 스마트미디어카드 / SM (Smart Media) Card: 신용카드 정도의 크기로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져 있으며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칩이 내장되어 있는 카드, 컴퓨터 및 PDA등에서 사용되는 확장방식의 하나
  • 스타일러스(Stylus): PDA 액정을 누르거나 입력할 때 사용하는 기구
  • 스토리지 카드(Storage Card): 저장카드, 즉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카드 또는 주변기기 및 확장장치로 CF메모리나, MMC, SD Card, Memory stick등의 총칭.
  • 스트롱암(StrongARM): Intel에서 만드는 CPU의 이름. 주로 WindowsCE나 PocketPC를 채택한 PDA에서 사용하고 있다.
  • 스프링보드(Springboard): 핸드스프링에서 자체적으로 개발한 PDA 확장방식. 현재 핸드스프링의 바이저에서 채택된 확장방식이다.
  • 슬로우 싱크(SlowSync): 셀빅을 두 컴퓨터를 대상으로 차례로 오토싱크를 했을 때 나타나는 싱크. 하나의 컴퓨터에 저장된 데이터와 셀빅의 데이터가 동기화 된 상태에서 다른 컴퓨터와 오토싱크를 수행하면 다른 컴퓨터에 저장된 데이터는 현재 셀빅에 저장된 데이터와 동기화 되어 잇지 않을 뿐만 아니라 현재 동기화 되어 있다고 판단할 수 있는 정보를 신뢰할 수 없기 때문에 각 레코드의 내용을 서로 비교하면서 같은 레코드인지 아닌지를 판단하면서 하는 싱크. 이런 이유로 슬로우싱크가 진행되면 싱크속도가 현저히 느려진다.
  • 시리얼 포트(Sirial Port): 컴퓨터에서 외부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포트중의 하나. 한번에 여러 개의 데이터를 보내는 방식인 병렬(Parallel)방식과 반대로 한번에 하나의 데이터를 보내는 방식으로 마우스, 키보드, 모뎀등이 시리얼 포트를 이용한다.
  • 싱크 / sync(Syncronization): 싱크란 우리나라 말로 하면동기화라고 하는데 PDA와 PC에 저장된 데이터를 비교하여 PDA와 PC가 동일한 데이터를 갖도록 해 주는 것을 말함. 이런 싱크의 종류도 여러 가지가 있는데 Palm의 경우 핫싱크(HotSync), WindowsCE(PocketPC)의 경우는 액티브싱크(ActiveSync), 셀빅의 경우는 오토싱크(AutoSync)라고 하며 크래들이나 케이블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싱크를 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 아방고(AvantGO): 오프라인 브라우저(Off-Line Browser)의 이름이면서 AvantGo Inc.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의 이름
  • 앰펙 / MPEG(Moving Picture Expernts Group): 디지털 비디오 및 오디오 압축에 관한 표준을 제정하는 동영상 전문가 그룹을 말한다. 여기서 제정한 표준을 바탕으로 하여 만들어진 파일이 엠펙파일이며 확장자는 .mpg 혹은 .mpeg이다.
  • 웜 리셋 (Warm Reset): Palm이 소프트 리셋으로 초기화되어 다시 켜질 때 함께 시작되는 Boot Code를 건너 뛰고 시작되는 리셋. 문제가 있는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나서 다운이 되고 소프트 리셋으로도 해결이 되지 않을 때 사용하는 리셋으로서 소프트 리셋의 경우처럼 웜 리셋을 하더라도 데이터는 사라지지 않는다.
  • 웹클리핑(Web Clipping): 인터넷에 있는 정보를 빠르고 쉽게 Palm VII에서 볼 수 있도록 지원하는 서비스
  • 임베디드(Embedded): 내장형 이라는 뜻으로 어떤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가 다른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의 일부로 내포되어 있는 것을 말한다. 즉 OS가 롬에 내장되어 있으면 임베디드 OS라고 할 수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 적외선(Infra Red): 리모콘, PC, 노트북컴퓨터. PDA간의 데이터 교환을 위해 사용되는 무선기술
  • 전자명함(Business Card): PDA에 설정해 놓은 사용자 명함. 적외선을 이용한 비밍(Beaming)을 통해 서로 교환할 수 있다.
  • 조그다이얼(Jog Dial): 프로그램간의 이동과 메뉴이용시에 스타일러스를 사용하지 않고 선택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선택 다이얼.
  • 채널(Channel): 아방고에서 아방고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각 사이트를 일컫는 용어
  • 커널(Kernel): OS의 다른 모든 부분에 여러 가지 기본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OS의 가장 핵심적인 요소
  •  컴팩트 플래쉬(Compact Flash): MMC, SM Card와 같은 하드웨어 확장방식의 하나.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CF를 지원하는 주변기기도 가장 많다.
  • 콜드 리셋(Cold Reset)  : 리셋으로도 셀빅이 동작하지않거나 반응이 없을 때 사용하는 리셋으로서 Palm과 WindowsCE에서 말하는 하드 리셋과 의미가 같다. 콜드 리셋을 하게 되면 셀빅에 있는 모든 데이터가 사라지며 공장 출하시와 같이 초기화된다. 쿨 리셋이라고도 함.
  • 크래들(Cradle): PDA를 올려놓을 수 있는 거치대. 충전형 내장 배터리를 채택한 기종의 경우 크래들에 올려 놓고 충전할 수 있으며 크래들에 PDA를 올려놓고 PC와 크래들에 연결하면 싱크도 할 수 있다.
  • 태스크(Task): WindowsCE를 채택한 PDA에 내장된 프로그램으로서 해야할 일을 관리하는 프로그램
  • 태핑(Tapping): PDA 액정을 한번 누르는 것
  • 트루싱크 (TrueSync): Starfish에서 만든 싱크 프로그램으로서 Palm Desktop과 Microsoft Outlook. lotus Notes가 동시에 싱크가 되도록 해 주는 프로그램

 

        

사용자 삽입 이미지

  • 파트너쉽(Partnership): WindowsCE를 채택한 PDA에서 최초 싱크시에 PDA의 이름을 설정하는 것
  • 팜(Palm): Palm inc.에서 만드는 PDA의 이름
  • 팜 데스크탑(Palm Desktop): Palm Inc.에서 만든 PIMS 프로그램. Palm이 싱크를 할 경우 Palm Desktop과 동기화를 한다.
  • 플래쉬 롬(Flash ROM): 전원이 차단되어도 데이터가 사라지지 않는 롬의 특성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사용자가 롬에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기록할 수 있는 롬
  •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 일반적으로플래쉬 램이라고 불리우기도 한다. 바이트단위로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이 아니라 블록 단위로 데이터를 저장하기 때문에 속도는 빠르지만 일반 램처럼 범용적으로 쓰이지 못한다. 핸드폰, 디지털 카메라, 노트북 컴퓨터, PC카드, PDA등에 사용되고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 하드 리셋(Hard Reset): 소프트리셋이나 웜 리셋으로도 PDA가 동작하지 않을 때 사용하는 리셋. 하드 리셋을 하게 되면 PDA에 있는 모든 데이터가 사라지며 공장 출하시와 같이 초기화됨. 셀빅의 경우 콜드 리셋, 쿨 리셋이라고도 함
  • 핫싱크(HotSync): Palm에서 사용하고 있는 싱크의 이름. Palm과 Palm Desktop 간에 싱크가 이루어지게 된다.
  • 핵(Hack): Palm OS의 각 시스템 함수들을 확장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프로그램. Palm OS 함수들의 루틴을 바꿔치기 하거나 가로채서 원래의 기능을 확장시켜준다. Palm에 있는 거의 모든 시스템서비스를 치환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핵을 사용하려면 HackMaster나 EvPlugBaserk Palm에 설치되어 있어야 한다.
  • 핵마스터(Hack Master): 핵 프로그램을 관리하는 프로그램. 핵 프로그램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Palm에 설치되어 있어야 한다.
  • 핸드스프링(Handspring): Palm OS를 채택한 PDA인 바이저(visor)를 만드는 회사. Palm을 처음 만들었던 Jeff Hawkins와 Donna Dubinsky가 3Com에서 나와 만든 회사이다.
  • 핸드헬드 피씨(Handheld PC): 일반적으로 키보드가 달린 PDA를 일컫는 말
  • 확장팩(Expansion Pack): 컴팩 iPAQ에서 채택한 자켓형식의 확장장치. IPAQ의 경우 본체에 확장슬롯이 없고 확장팩을 이용하여 하드웨어적인 확장을 꾀하고 있다. CF타입의 확장팩과 iPAQ과 같은 용량의 리튬폴리머 배터리가 내장된 PCMCIA타입의 확장팩이 있다.
반응형